배추도사네 풀떼기

남천나무=부자나무 키우기

깜냥별 2022. 12. 24. 22:42
728x90


빠알간 열매가 매력적인 남천나무
요렇게 빨간열매가 열리는 남천나무를 부자나무
즉, 돈나무라고 부른답니다.

남천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추위에 약해서 남해안 지역이나 제주도에서 많이 볼수 있으며 주로 관상용으로 심고
악귀를 쫒아낸다는 나무입니다.
중국에서는 신선이 먹는 식품으로서 잎을 쌀과같이 먹으면 백발이 검어지고 노인이 젊어진다고 하여 성죽.젓가락으로 사용하면 중풍을 예방한다고 믿었으며 유럽에서는 천국의 대나무 또는 성스러운 대나무로
일본에서는 잎이 해독이나 부패를 방지한다고 믿어서 생선회 밑에 깔아 신선도를 유지했다고 합니다.


남천나무는 먹기도 한다는데요

남천나무의 효능

1.잎 -감기 .기침.박일해.안구질환에 효과.살균방부효능 .타박상.소변출혈에 사용
2.뿌리및껍질.기지 - 위장 .눈병에 효능 . 숙취.간장질환 .간암치료에 이용.감기로인한 발열과 두통을 치료 . 피부염에사용.혈액순환을 촉진
3 .열매-간기능 장애.간암등에 효능
기관지 질병과 해열.기침 .해수 .천식
등 기도의 염증을 억제.진통작용으로
인후통에 효과.시력저하에 사용

남천나무 먹는방법

열매는 시고 떯은맛.뿌리나 잎은 서늘하고
열매는 평이한성질

남천의 부작용
  1. 몸의 열기를 식혀주는데 효과가 있어서몸이 차가운사람은 먹지말것
  2. 나무 전체에 독성이 있으므로 임산부는 복용하지말것
  3. 남천 열매는 미량이지만 유독성분이 들어있어 의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은 안이하게 섭취하는것 주의

남천나무 키우는법
  1. 물주기

봄.여름 가을엔 화분 흙 표면이 말랐을때 듬뿍준다
겨울엔 화분흙이 대부분 말랐을때준다
물을 줄때는 화분밑에 있는 구멍으로 물이 흘러나오도록 흠뻑주는것이좋다
물을 조금씩만 주게되면 흙 일부에만 물이 고이게 되어 뿌리가 썩거나 뿌리가 골고루 물을 흡수하지 못한다
과습하거나 너무 건조하게 키울경우 잎이 노랗게 갈변한다.
흙에 수분이 너무 많거나 질소가 많게 되면 잎이커지고 붉은잎의 색상과 열매에 좋지않음
반대로 흙이 너무 건조해지면 줄기가 잘 자라지않고 잎이 떨어지거나 꽃이 잘 피지 않고 열매도 잘 맺기 힘들어한다.
공기가 너무 건조할 경우 응애나 깍지 벌레가 생길수 있어 잎주위에 분무기로 분무해주어 습도를 높여주면 좋다.

2.온도
16도~20도에서 가장 잘자람
겨울에는 5도이상이 되는 곳에 놓아주는것이 좋으며 추운곳에서는 줄기의 성장이 더디다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남부지방 뿐만아니라 중부지방 일부에서도 노지월동이 가능해졌다
가을엔 온도가 낮아지면 잎색이 빨갛게 변하지만 잎이 낙엽으로 떨어지지는 않는다.

3.햇빛
햇빛을 많이 좋아함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지만 붉은 잎을 보려면 햇빛을 많이 봐야함

4.분갈이및가지치기 번식
남천은 흙에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으면 좋지 않기 때문에 배수가 잘되는 흙에 분갈이를 해줍니다.
봄에 많이 자라고 가을이 되면 열매를 맺어 성장이 뎌뎌지기 때문에 봄이 되기 직전에 가지치기를 해주면 좋습니다.
웃자란 가지나 밑쪽에 무성하게 자란 가지들은 가지치기가 수형에 도움이 됩니다.
번식 방법은 파종과 삽목이 있습니다.
가지치기한 줄기는 수경재배도 가능합니다.

꽃말은 전화위복입니다.



남천은 동양적인 미가 돋보이는 수형과 잎.열매.꽃으로 이루어져 플렌테리어에 아주 제격입니다.
남천은 6~9월에 흰색이나 분홍색꽃이 핍니다.




지금 한참 노지에서 크고 있는 남천나무인데요
저도 내년엔 꼭 물주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열심히 주어서 꼭 빨간 열매가 주렁주렁 열리어 부자나무인 남천나무를 체험하고 싶습니다~
우리 모두 전화위복이란 꽃말을 가진 남천나무 처럼 내년엔 전화위복 되도록
함께 잘 키워서 모두 모두 부자되시는
한해를 맞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