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희귀식물 5

디운에둘레 소철 키우기

새의 깃털의 모습을 한 애둘레소철 촤라락 새순을 펼치는 모습도 참 신비롭답니다.깃털을 하나씩 하나씩 서서히 펼치는 그순간 정말로 짜릿합니다. 시중에서는 흔하게 볼수 없는 식물인데요 저도 몇년전에 너무 갖고 싶었으나 판매처도 잘 없어서 파종을 해보겠다고 씨앗을 사서 낭패를 본적이 있습니다. 그러다가 지인이 선물로 주셔서 키우게 된 아이인데요 정말 순둥하게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키울수 있습니다. *에둘레 소철키우기 디운 에둘레 소철은 멕시코의 동부 해안에 자생합니다. 에둘레 소철은 일반적으로 낙엽수림이나 참나무 숲에서 자란다고 합니다. 보통 노출 된 얕은 토양과 같이 환경이 가혹한 지역에 살아가는 에둘레 소철은 해발 1500m사이의 고도에서 자생합니다.이들이 살아가는 대부분의 지역은 매우 건조한 기후이며 이..

펫츠 헤데라 앵조스타 키우기

큼탁한 무늬 잎사귀가 매력적인 펫츠헤데라 앵조스타입니다. 펫츠(팔손이) 헤데라 (아이비) 펫츠헤데라입니다. 팔손이의 잎사귀를 닮고 아이비의 무늬종을 닮은 이름인듯 싶습니다. *펫츠헤데라키우기 반양지.반음지에서 키울수있습니다.무늬종이기 때문에 저는 창가쪽에서 키우고 있습니다.간접광이 통하는 창가쪽에서 키우고 있어서 그런지 꾸준히 무늬가 나오고 있습니다. 물주기:겉흙이 마르면 주고 있습니다.겉흙의 마르는 주기가 빨라진다면 분갈이를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뿌리가 화분에 꽉짜 버리면 물주는 텀이 아주 짧아집니다.지금 제 화분이 금새금새 마르는거 보니 분갈이를 얼른 해줘야 할것 같습니다. 주의점:과습에 주의해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흙의 마름을 잘 살펴보아야하는데요 분갈이시 배수가 좋게 녹소토.마사토.산야초등을 ..

무늬가 예쁜 무늬 병풀 키우기,병풀의효능

무늬병풀(무늬병꽃풀) 작년 봄쯤 나눔받아 키우던 무늬병풀입니다. 초록초록 잘 자라던 무늬 병풀인데요 여름을 힘겹게 보냈던 병풀이는 속알머리가 없고 잎사귀도 많이 말라버렸습니다.아마도 더운 여름 물을 말린탓일까요? 윗부분은 거의.. 대머리!!! 그래서 오늘 특단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자를데 자르고 수태가 있던 볼에 척척 걸쳐주었습니다. 수태볼을 올려주었더니 촉촉함을 좋아해서 일까요? 새순들이 엄청나게 귀염지게 나오고 있습니다. 금세 자라서 예쁘게 늘어질것 같습니다. 병풀은 병을 치료하는 식물이라고 해서 병풀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합니다. 오래전부터 피부 상처나 만성궤양등의 치료에 사용해왔고 마데카소사이드의 성분을 이용해 제약회사에서는 상처 치료제를 개발해 판매를 한다고 합니다. 마데카*연고 제품에 병풀이..

필로덴드론 마요이 키우기

아주 쪼그만 필로덴드론 마요이에서 대품으로 키웠습니다. 손바닥 모양의 큰잎이 인상적인 식물로 브라질이 원산지입니다.아마존 열대우림의 야생에서 발견되지만 오늘날에는 태국,필리핀,호주와 같은 세계의 다른지역에서도 자라고 있습니다. 식물집사에게 아주 인기가 좋은 식물입니다. 유래 필로덴드론 마요이는 식물학자인 simon Mayo 박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1940년경 마라우스(브라질중부지역)를 탐험하던중 발견 되었다고 합니다. 독성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위험합니다.그는 체내에서 분해할 수 없는 옥살산칼슘이라는 독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먹으면 속이 쓰리거나 토하거나 다른 위장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또한 피부 발진을 일으킬수도 있습니다.가지치기를 할때 장갑을 끼고 해야하며,애완 동물이나 어린아이가 ..

안스리움클라리네비움 키우기

커다란 녹색하트잎이 매력적인 안스리움클라리너비움 다양한 관엽식물 중에서도 큼닥한 하트잎이 아주 매력적인 식물이랍니다. 하트가 대체 잎사귀에 몇개인거죠? 이러니 반해요 안반해요? 정~말 매력이 넘치는 아이인데요 저는 잎사귀를 세장을 넘기가 힘들더라구요~ 새잎만들기,풍성하게키우기 안스리움클라리너비움의 잎이 6개월이상 지속적으로 변화가 없거나 잎의 숫자가 적어 풍성하게 키우고 싶다면 물주는 양을 확인해야한다고 합니다.베란다의 방향이나 햇빛양,기온,날씨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너무 건조하게 관리를 했다는 조금더 물을 늘려줄 필요가 있답니다.베란다에 해가 적고 기온이 낮다면 위치를 따뜻한 곳으로 옮겨주세요.요즘처럼 추운 겨울은 실내로 들이는것이 좋습니다. 안스리움은 건조에 강한 편이지만 환경 등에 비해 과습이면 ..

728x90